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ATM(Asynchronous Transfer Mode, 비동기 전송 모드)
    공부 이야기/그냥 찾아보는 공부 2019. 8. 4. 00:29

    B-ISDN (고속의 가입자망을 실현시키려는 ISDN)의 전송기술 중 하나.

    회선교환방식 고유의 장점을 닮아갈려는 패킷교환방식.

    전송기술의 이무기같은 존재

     

    실제로 신호방식, 주소포맷은 회선교환방식을, ATM 셀 처리는 패킷교환방식이다.

    ATM의 경우 '셀'이 핵심인데, 회선교환방식처럼 연결을 줄곧 유지하는 것이 아닌, 비동기 방식으로 셀을 주고 받는다. 

     

    ATM 셀 구조

    셀은 5바이트의 헤더와 48바이트의 페이로드로 구성되어있다.

     

    ATM 프로토콜 구조

    계층의 구조는 물리계층 -> ATM 계층 -> AAL 계층 -> 응용 계층으로 되어있다.

     

    1) 물리계층

    - ATM 셀들을 수집 정리해서 물리매체에 적응시켜 전송함.

    - 헤더오류제어, 셀 경계식별

    - TC(Transmission Convergence) : 물리매체에 맞게끔 셀을 송수신 데이터 단위로 변환해주는 기능

    - PMD(Physical Medium Dependent) : 물리매체를 통한 비트 전송 기능을 담당 

     

    2) ATM 계층

    - ATM 셀의 다중화

    - ATM 셀 헤더의 생성 및 삭제 (투명성 보장)

    - ATM 연결 설정 (VPI 가상 패킷 설정, VCI 가상 회선 설정에 대한 분석과 변환) 및 경로 선택

     

    3) AAL 계층

    - 각 서비스별 다양한 요구조건의 차이를 흡수하는 역할

    - 오류제어, 흐름제어, 순서제어

    - CS(Convergence Sublayer) : 수렴 부계층으로 트래픽 특성에 따라 적응적 기능을 수행

    - SAR(Segmentation and Reassembly) :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48바이트의 정수배로 조정 또는 분할(셀 바이트 분해 및 조립으로 일종의 PAD)

     

    4) AAL 계층의 분류

    - Class A (AAL 1) : 연결지향성, 고정전송률, 실시간성

    - Class B (AAL 2) : 연결지향성, 가변전송률, 실시간성

    - Class C (AAL 3,4,5) : 연결지향성, 가변전송률, 비실시간성

    - Class D : 비연결지향성, 가변전송률, 비실시간성

    또는,

    - CBR, UBR, VBR, ABR(가용비트율) 등에 의한 구분방식이 있음.

     

    ATM의 파라미터

    - CLP(Cell Loss Priority Control) : 네트워크 폭주 시 버려야할 셀의 우선순위 지정

    - CAC(Connection Admission Control) :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의 종류를 분간하기 위한 트래픽 관리 정책

    - UPC(Usage Parameter Control) : 연결 설정 이후 트래픽이 준수한지 관리

    - CLR(Cell Loss Ratio) : 셀 손실율

    - CTD(Cell Transmission Delay) : 셀 전송 지연

    - CDV(Cell Delay Variation) : 셀 지연 변이

     

    STM과의 차이점

    - STM의 경우에는 일정한 시간 할당(time slot)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전송을 한다.

    - STM의 경우에는 셀이 기본 전송 단위가 아니다. 프레임이 기본 전송 단위이다.

     

Designed by Tistory.